윈드코리아33 풍력발전의 역사 - 인류는 언제부터 바람을 에너지로 사용했을까요? 인류가 바람을 에너지로 사용한 흔적은 적어도 5천5백만 년 전부터 시작된 바람을 이용한 항해에서 찾을 수 있습니다. 배가 바다 위를 항해하려면 바람과 돛, 혹은 노와 사람, 아니면 기름과 엔진이 필요할 것입니다. 1세기, 고대 이집트에서 태어나 알렉산드리아에서 활약한 발명가이자 수학자였던 헤론 Hero of Alexandria는 바람개비를 이용해 바람의 힘으로 연주할 수 있는 오르간을 설계한 것으로 전해지고 있습니다. 9세기, 이란 아프가니스탄, 파키스탄 등 에서는 곡식을 갈거나 물을 끌어다 쓰기 위해 풍력을 사용했다고 전해지며, 유럽에서도 중동 지역의 풍차 Windmill에 영향을 받은 다양한 풍력 기계들이 나타나기 시작했습니다. 이후 바람을 이용한 전기 생산이 조금씩 확산되기 시작했고, 1941년에는.. 2021. 1. 17. 한국풍력산업협회 소개 한국풍력산업협회는 우리나라 풍력산업에 관련된 일을 하는 크고 작은 기업과 기관들이 모여 공통의 과제에 대해 협력하는 단체입니다. 누구나 이름만 들어도 알 수 있는 대기업부터 신기술을 연구하는 작은 벤쳐기업까지 다양한 기업과 기관들이 모여 신재생에너지의 결론이라 할 수 있는 풍력발전산업의 미래를 열어갑니다. 한국풍력산업협회 홈페이지에는 풍력발전에 관한 다양한 정보와 산업현황, 최신 뉴스와 함께 협회에 소속된 회원사들의 명단도 게시되어 있습니다. 한국풍력산업협회 홈페이지는 아래 링크를 통해 찾아보실 수 있습니다. 한국풍력산업협회 한국풍력산업협회는 국내 풍력산업계를 구성하는 다양한 기업과 유관 기관들이 모인 단체입니다 www.kweia.or.kr 2021. 1. 16. 해상풍력발전단지가 전기를 만드는 방법 해상풍력발전단지도 육상풍력발전단지처럼 바람개비처럼 생긴 로터를 돌려 전기 에너지를 만들어냅니다. 바다는 바람이 불어올 때 마찰이 육지보다 훨씬 적기 때문에 비교적 일정한 양의 바람이 일정한 세기로 불어옵니다.이 바닷바람이 로터를 돌리게 되고 로터는 넛셀이라 부르는 풍력발전기 본체 안에 있는 발전기를 돌려 전기를 만들어냅니다. 여러 개의 풍력발전기에서 만들어 낸 전기는 해저에 깔린 송전망을 통해 중간 변전소에 모이게 되고 여기서 다시 내셔널 그리드 National Grid 라 부르는 국가 송전망에 연결된 후 공장이나 가정 같은 전기가 필요한 곳으로 퍼져나가게 됩니다.아래 영상 링크는 덴마크 최고의 에너지 회사인 외르스테드 (오스테드) Ørsted 가 해상풍력발전의 원리를 설명하기 위해 만든 영상의 링크입니.. 2021. 1. 16. 이전 1 ··· 3 4 5 6 다음